Social care

SK_SooJungJang.mp4

Soo Jung Jang

With the development of capitalism, the responsibility of care that supports the production area has been privatized, invisible, and gendered. Tronto(2014) pointed out that the responsibility of care has been carried out by certain gender, class, race and etc., while some have been exempted from carrying care with privileged status. According to Tronto, it is difficult for people with a lot of responsibility for care to make free choices, have unequal responsibility for care, and care is made unfair in the market. The vicious cycle of caring continues. Tronto argues that care democracy must be done in order to realize a true democracy. As a result of studying policies such as childcare and elementary care based on Tronto’s care democracy, the unjustice of care is made in Korea and the care policy is also continuously strengthening the unjustice. In order to achieve the justice of care, it is necessary to institutionalize care democracy through care governance that reflects gender perspectives on care. Through care governance, care stakeholders need to discover major agendas and participate in major decision-making.

자본주의의 성장과 더불어 생산 영역을 지원하는 돌봄의 책임은 민간화, 비가시화, 젠더화되었다. 토론토(Toronto, 2014)는 돌봄의 책임이 특정 성별, 계층, 인종 등에 의해 수행되고 있으며 일부는 특권을 바탕으로 돌봄을 수행하는 것으로부터 제외되어 있다고 지적한다. 또한 돌봄에 관한 과도한 책임을 지고 있는 사람들은 자유로운 선택을 하기가 어렵고 돌봄에 대한 불공평한 책임을 담당하고 있으며, 돌봄 시장 자체가 불공평하게 형성되어 돌봄에 관한 악순환이 계속된다고 주장한다. 토론토는 진정한 민주주의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돌봄 민주주의가 선행되어야 한다고 논의한다. 토론토의 돌봄 민주주의에 근거한 아동 돌봄 및 초등 돌봄에 관한 정책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한국 사회에서는 돌봄의 불균형이 발생하였으며 돌봄 정책 또한 이러한 불균형을 지속적으로 심화시키고 있다. 돌봄 균형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돌봄에 관한 젠더 관점에서의 시각을 반영하는 돌봄 가버넌스를 통해 돌봄 민주주의를 제도화 하는 것이 필요하다. 돌봄 가버넌스를 통해 돌봄 관련자들은 주요 안건을 파악하고 핵심 의사 결정에 참여해야 한다.

UK_Shirin Rai & Juanita Elias.mp4

Juanita Elias and Shirin Rai

Care and Caring in the UK under austerity and COVID-19

긴축 정책 및 코비드19 로 인한 영국 내 케어 및 돌봄 현황


This presentation overviews work that Juanita Elias and Shirin Rai have done on the topic of the crisis in social care provision for older people in the UK. Starting with a summary of the author's involvement in the 2016 Political Studies Association Commission on Care, the presentation then looks at more recent work that has sought to better identify the longstanding challenges facing women and ethnic minority groups in accessing care and working as paid and unpaid carers. These challenges were especially acute during the COVID-19 crisis. We argue that COVID-19 is a crisis that connects with other crises, the financial crisis of 2008 and its fallout in austerity policies, and the crisis of ‘care/lessness’ that takes for granted the unpaid labour of domestic work as well as the non-recognition of its value for the economy and society, alongside the continuing crisis of racism that affects the fabric of society and of social policy.

본 프레젠테이션은 영국 내 노령 인구에 대한 사회적 돌봄(소셜 케어) 제공 위기에 관한 Juanita Elias and Shirin Rai의 연구를 바탕으로 한다. 프레젠테이션을 통해 2016년 ‘돌봄 정치학 협회 위원회(Political Studies Association Commission on Care)’ 활동에 참여한 저자의 경험을 간략히 소개한 후, 여성과 소수 민족의 돌봄 서비스 접근 및 유급/무급 돌봄 인력으로서의 근로와 관련하여 오랜 기간 지속되어 온 문제점을 더욱 효과적으로 살펴보기 위한 최근의 연구 내용을 다루고자 한다. 이러한 문제는 코비드19 기간 동안 더욱 심화된 것으로 보인다. 코비드19는 2008년 금융 위기 및 그로인한 긴축 정책, 사회경제적으로 그 가치를 인정받지 못하고 있는 무급 가사 노동과 관련된 ‘돌봄 저평가’ 위기 그리고 사회 및 사회 정책에 영향을 미치는 지속적인 인종주의 등 다른 문제와 긴밀히 연결된 위기이다.

UK_Emma Dowling.mov

Emma Dowling

How to End the Care Crisis? Moving Beyond Short-term Care Fixes

돌봄 위기, 어떻게 끝낼 것인가? 단기적 돌봄 해결 , 그 이상의 해법

The Covid pandemic has both exacerbated and made visible an existing care crisis, leading to care deficits and difficulties accessing adequate care, as well as untenable working conditions and difficulties providing care, both paid and unpaid. In my talk, I focus on the social care sector in the UK, to show how a combination of austerity and financialisation has deepened the care crisis. Focussing on outsourcing and public-private partnerships, I show how short-term care fixes seek to address the care crisis in the interest of capital accumulation without addressing the structural conditions that lead to the problems identified. A care fix is rather a displacement mechanism, often premised on externalising the cost of care or increasing unpaid care work. In conclusion, I suggest a series of policy directions for social care that could serve to stabilise both access to and provision of care and thereby contribute to ending the care crisis.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기존의 돌봄 위기가 가속화되었을 뿐만 아니라, 관련된 많은 문제들이 수면 위로 떠올랐다. 이는 돌봄 부족, 적절한 돌봄에 대한 접근의 어려움과 더불어 불안정한 근로 조건과 유급 및 무급 돌봄을 제공하는데 한계를 초래하였다. 필자는 영국의 사회적 돌봄(소셜 케어) 섹터를 중심으로, 긴축 정책과 금융화의 결합이 이러한 문제를 어떻게 더 심화시켰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아웃소싱 및 공공-민간 파트너십을 바탕으로 단기적 돌봄 해결 방법이 돌봄 관련 문제를 초래한 구조적 요인에 대한 이해 없이, 자본축적의 이익 관점에서 돌봄 위기를 조명하고 있는 측면도 함께 다뤄보고자 한다. 돌봄 해결/수정은 대체 메카니즘으로서, 일반적으로 돌봄 비용의 외부화 또는 무급 돌봄 노동의 증가를 전제로 한다. 돌봄에 대한 접근 및 돌봄 제공 안정화를 통해 돌봄 위기를 해결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일련의 정책을 제안하며 이 글을 마무리하고자 한다.

SK_Jin-Kyoung Park.mp4

Jin Kyoung Park

돌봄 노동과 돌봄 노동자

한국사회는 유래 없이 빠른 고령화를 경험하고 있으며, 가족 구조 및 사회인식에 있어서도 급변 중이다. 무급 돌봄 노동의 여성 집중, 저평가는 유급과 무급 돌봄 노동 전반에 대한 가치절하, 저임금, 불안정 고용으로 이어지면서 결국 ‘돌봄 노동의 여성화, 고령화’의 악순환을 낳고 있으며, 특히 돌봄에서의 성불평등이 코로나19로 인해 가시화되면서 돌봄의 위기 공백 상황을 초래하였다. 이에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는 돌봄경제 선순환을 위한 전제 조건을 제시하고, 나아가 한국형 돌봄경제 선순환 모델 구축 예정임을 밝힌다.

Carework and the Care Workforce

South Korea is becoming a highly aged society at an unprecedented speed, while family structures and social awareness are simultaneously shifting. Heavy dependence on the female workforce and the undervaluing of unpaid childcare work have led to an overall devaluation of paid and unpaid childcare work as well as low pay and employment instability. This, in return, has produced the vicious circle of ‘gendered and aged care work’. Gender inequality in the care sector has become more visible during the Covid19 pandemic. It also has contributed in creating a care crisis and lack of coverage in some aspects of the care system.

The Presidential Committee on Ageing Society and Population Policy proposes certain preconditions to achieve a virtuous circle within the care economy and aims to establish a Korean model for such a virtuous circle for the care economy.

PPT_Eva Lloyd.pptx

Eva Lloyd

Is the English childcare market becoming as unsustainable as the English adult social care market?

영국 내 아동 돌봄은 성인 대상 사회적 돌봄 시장처럼 지속 불가능해지고 있는가?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system in England is a mixed market in which a supply-side public subsidy enables public, private-for-profit and not-for-profit providers to deliver free early education for 2-, 3- and 4-year-olds. Childcare for 0–5-year-olds is delivered almost exclusively in the private sector, supported by demand -side public subsidies (Lloyd, 2017; 2020). A research team based at UCL undertook a 3-year study of the reach, impact, and dynamics of private-for-profit and not-for-profit childcare provision in England (Simon, Penn, Shah, Owen, Lloyd, Hollingworth and Quy, 2022). Findings revealed the growing dominance of national and international for-profit-childcare companies with complex financial structures. Relying heavily on private equity investors, these companies fuel expansion through mergers and acquisitions, while carrying major debts, putting their sustainability at risk. This trend has neither generated increased childcare places nor improvements in workforce pay and conditions, while parental fees remain high by OECD standards, access to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is limited and transparency and accountability regarding public subsidy use are lacking. Our research produced evidence that the English private-for-profit childcare market demonstrates a similar form of 'financialisation' as has been responsible for several spectacular business failures in the adult social care market.

영국의 초기 아동 교육은 혼합적 형태로서 공공 섹터가 공급 측면에서 영리 및 비영리 돌봄 제공기관을 통해 2세, 3세, 4세 대상 무상 초기 아동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0세-5세 대상 아동 돌봄은 거의 독점적으로 민간 섹터를 통해 제공되고 있으며, 수요 측면의 공공 보조금을 지원받고 있다(Lloyd, 2017; 2020). 영국 UCL 대학 연구팀은 영국 내 영리 및 비영리 아동 돌봄의 제공 범위, 영향 및 역학에 관한 3년 간의 연구(Simon, Penn, Shah, Owen, Lloyd, Hollingworth and Quy, 2022)를 진행하였으며 이 연구의 결과를 통해 복잡한 재정 구조를 갖춘 영국 및 국제 영리 아동 돌봄 제공업체의 비중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사금융 투자자에게 과도하게 의지하고 있는 이러한 기업들은 합병 및 매수를 통해 그 규모를 확장하고 있는 동시에 상당한 부채를 부담함으로써 스스로의 지속 가능성을 위협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는 아동 돌봄 확대, 돌봄 인력 급여 및 근로 조건 향상에 기여하지 못했으며, 부모가 부담하는 비용은 여전히 OECD 기준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해 저소득 가정 아동의 돌봄 서비스 접근은 제한되고 있으며 공적 보조금 사용에 대한 투명성 및 책임 또한 부족한 실정이다. 이 연구는 영국의 민간 영리 아동 돌봄 시장이 성인 대상 사회적 돌봄 시장의 일부 비즈니스 실패 원인이 된 ‘금융화’와 유사한 양상을 보이고 있음에 주목하고 그 증거에 관해 논한다.